반응형

단순도뇨 & 유치도뇨관 삽입과 그 목적
자연배뇨가 어려운 경우나 수술 및 검사로 인해 인공도뇨를 고려할 수 있습니다. 이때 사용되는 방법 중에서 단순도뇨와 유치도뇨관 삽입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.
단순도뇨란?
단순도뇨는 유연한 소변줄인 도뇨관을 통해 요도를 통해 방광으로 삽입하여 방광을 비우는 방법입니다. 이후 소변을 제거하고 도뇨관을 빼내게 됩니다. 단순도뇨는 한 번 사용되는 경우도 있지만, 요로폐색이나 척수 손상과 같은 신경학적 장애가 있는 사람들에게는 배뇨가 어려울 때 간헐적으로 사용될 수 있습니다.
단순도뇨의 목적
- 불완전한 방광 기능을 가진 환자의 장기적인 관리
- 방광팽만(요정체) 완화
- 배뇨 후 방광의 잔뇨량 측정
- 수술 전, 중, 후 방광 비우기
- 방광세척 및 약물 주입을 위한 절차
단순도뇨 과정
- 여성: 등을 침대에 대고 누워 무릎을 구부린 자세에서 소변줄을 도뇨관에 삽입. 소변줄은 약 5~8cm로 길이가 되며 심호흡이 도움이 됨.
- 남성: 똑바로 누워 요도를 소독한 후 소변줄을 도뇨관에 삽입. 소변줄은 12~18cm로 길이가 되며 심호흡이 도움이 됨.
유치도뇨란?
유치도뇨는 요도를 통해 배액되는 소변을 받는 폐쇄 배액체계에 연결된 소변줄을 사용하는 방법입니다. 이중 관 구조로 되어 있으며, 소변줄에는 환자의 상태에 맞게 팽창시킬 수 있는 ballon이 있습니다.
유치도뇨의 목적
- 자연배뇨가 어려운 경우의 배뇨 보조
- 회음부 수술 후의 오염 방지
- 수술 시 방광 팽창 방지
- 방광 내 세척 및 약물 주입
유치도뇨 과정
- 소변줄에 윤활제를 바르고 요도에 삽입. 소변이 시작되는 지점에서 2.5~5cm 더 삽입. 소변줄을 묶어 ballon을 팽창시키고 고정.
- 환자의 움직임을 방지하며 소변줄을 배뇨 주머니에 연결한 뒤 피부에 고정.
주의사항
- 무균술을 철저하게 적용하여 감염을 예방해야 함.
- 아동이나 노인의 경우 가족이나 간병인의 도움이 필요.
- 소변의 색깔, 흐름, 냄새를 주기적으로 관찰하고 소변백을 적절히 관리.
단순도뇨와 유치도뇨 삽입 시 감염 예방을 위해 무균술을 철저하게 적용하고 환자의 움직임을 통제하는 것이 중요합니다. 이러한 절차를 통해 환자의 건강을 보호하며 불편을 최소화할 수 있습니다.
반응형
'생활정보' 카테고리의 다른 글
미리 예방하기: 화학적 유산, 습관성 유산 극복하자 (0) | 2023.08.12 |
---|---|
여성 불감증 : 성교통장애, 질통증, 질경련, 원인 및 치료방법 (0) | 2023.08.12 |
파스의 효과 및 부작용: 근육통, 통증완화, 관절통 (0) | 2023.08.11 |
방광염(오줌소태)초기증상, 원인 치료방법 및 예방법 (0) | 2023.08.11 |
솔잎의 효능과 활용법 - 구매방법, 효능 및 활용법 (0) | 2023.08.11 |
댓글